
전광영 CHUN KWANG YOUNG
최종 수정일: 3월 31일
전광영 CHUN KWANG YOUNG
Born
1944, Korea
Education
B.F.A Hong-ik University, Korea
M.F.A Philadelphia College of Art
Awards
2009 Presidential Prize in the 41st Korean Culture and Art Prize,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oul, Korea
2001 Chun Kwang Young; Artist of the Year 2001,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1974 Silver Prize in the 27th Cheltenham Art Center Exhibition sponsored by Cheltenham Art Center
1973 Special Prize in the Earth Art II sponsored by Civic Center Museum, Philadelphia, Pa., U.S.A
1969 Special Prize in the 18th Korean National Art's Exhibition sponsored by the Korean Culture and Arts Foundation, Seoul, Korea
1967 Korean Contemporary Artist's Invited Exhibition Special Prize, held by Chosun Press Group,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Seoul, Korea
1967-66 Special Prize in the 5th, 6th Shin Sang Group Exhibition, held by Shin Sang Group,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Seoul, Korea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1 Museum Ground, Yongin, Korea
2020 Musuem Ground, Yongin, Korea
2019 Jordan Schnitzer Museum of Art, Oregon, USA
2019 Sundaram Tagore Gallery, Singapore, Singapore
2019 Beck & Eggeling Gallery, Dusseldorf, Germany
2018 Brooklyn Museum, New York, USA
2018 Sundaram Tagore Gallery,New York, USA
2018 PKM Gallery, Seoul, Korea
2017 Museum De Reede, Antwerp, Belgium
2017 Beck & Eggeling Gallery, Vienna, Austria
2017 Pearl Lam Galleries, HongKong, China
2017 Villa Empain - Boghossian Foundation, Brussels, Belgium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0 Dep Art Gallery, Milan, Italy
2020 Lee Ungno Museum, Daejeon, Korea
2020 Special Exhibition `Moment of ㄱ(Giyeok : name of the first letter of the Korean alphabet)` ,Hangaram Art Museum, Seoul, Korea
2018 Beck & Eggeling Gallery, Düsseldorf, Germany
2016 Hong Kong Group Show, Pearl Lam Galleries, Hong Kong
2015 Venice Biennale, Palazzo Grimani Art Museum, Venice, Italy
2015 Museum SAN, Wonju, Korea
2015 'Spalding house : LESS = MORE', Honolulu Museum of Art, Honolulu, Hawaii
Selected Collections
The British MusuemLondon, U.K
Wooyang museum of contemporary art (Artsonje museum)Gyeongju, Korea
Yale University Art GalleryConnecticut, USA
Victoria & Albert MuseumLondon, U.K
KUNST Museum BonnBonn, Germany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Gwachun, Korea
Columbia University of LawNew York, USA
University of Virginia Art MuseumVirginia, USA
How Art MuseumWenzhou, China
United Nations headquartersNew York, USA
Dr. Christiane Hackerodt Stiftung für Kunst und KulturBonn, German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Seoul, Korea
출생
1944 강원도 홍천
학력
1971 필라델피아 예술대학 대학원 회화과 석사
1968 홍익대학교 서양화 학사
수상
2009 제41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미술부문 대통령상
2001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
1974 제27회 첼튼헴 현대미술작품전 은상
1969 제18회 대한민국 국전 특선
1968 제17회 대한민국 국전 입선
주요 개인전
2021 Museum Ground,용인
2020 Musuem Ground, 용인
2019 Jordan Schnitzer Museum of Art, 오레곤, 미국
2019 Sundaram Tagore Gallery, 싱가폴
2019 Beck & Eggeling Gallery, 뒤셀도르프,독일
2018 Brooklyn Museum, 뉴욕, 미국
2018 Sundaram Tagore Gallery,뉴욕, 미국
2018 PKM Gallery, 서울
2017 Museum De Reede, 앤트워프, 벨기에
2017 Beck & Eggeling Gallery, 빈, 오스트리아
2017 Pearl Lam Galleries, 홍콩
2017 Villa Empain - Boghossian Foundation,브뤠셀, 벨기에
주요 단체전
2020 Dep Art Gallery, 밀라노, 이탈리아
2020 이응노 미술관, 대전
2020 ‘ㄱ의 순간’ 한가람 미술관, 예술의 전당, 서울
2018 Beck & Eggeling Gallery, 뒤셀도르프, 독일
2016 Hong Kong Group Show, Pearl Lam Galleries, 홍콩
2015 베니스 비엔날레, Palazzo Grimani Art Museum, Venice, Italy
2015 뮤지엄 산, Wonju, Korea
2015 'Spalding house : LESS = MORE', Honolulu Museum of Art, 호놀룰루, 하와이
주요 작품 소장처
국립현대 미술관, 과천관
우양미술관, 경주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홍익대학교 미술관, 서울
대영박물관, 영국
예일대학교, 미국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 런던, 영국
쿤스트 미술관, 본, 독일
콜롬비아 대학교, 뉴욕,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 미술관, 버지니아, 미국
UN본부, 뉴욕, 미국
그 외 다수
작품세계
-최은주 경기도 미술관 관장
한국 현대미술에 있어서 ‘한국성’ 혹은 ‘한국적인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한국 작가들은 반드시 한국적이어야 할까?’ 반대로 ‘세계미술의 추세에 맞춰 한국적인 것을 버려야 할까?’
전세계를 무대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전광영의 작품을 보게 되면 위의 질문들에 답할 수 있는 실마리가 보인다. 그의 작품을 특징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요소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우선 그는 한국적 특성을 지닌 재료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그의 작품의 주요 재료는 한지이다. 수백 년 이상 한국에서 전통적인 기법으로 제작되어 온 한지는 매우 부드럽지만 강인한 속성을 지닌 우수한 품질의 종이로 한국인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한국의 선조들은 부드러운 붓에 먹을 묻혀 한지 위에 글과 그림을 남겼고, 때로는 한지를 보자기처럼 활용해 각종의 물건들을 감쌌다. 유리가 없던 시절, 전통가옥의 창호들은 한지로 마감되어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자연스럽게 구분 지었다. 어린 시절 한약방을 운영하던 큰할아버지의 집 천장을 빼곡히 채우고 있던 한지 약봉투의 기억을 환기해 낸 전광영은 1995년부터 한지, 보다 정확하게는 다양한 먹글씨가 그대로 남아 있는 고서들을 활용해 그만의 독특한 조형실험에 몰두했다. 전광영은 산업재료인 스티로폼을 삼각형의 작은 덩어리로 재단해 그것들을 하나, 하나 한지로 감싸 그의 작품을 구성하는 원천적인 재료로 탈바꿈 시켰다. 초기에는 그 작은 조각, 조각들이 한지의 색감과 질감을 비교적 온전하게 유지하면서 화면을 리드미컬하게 구성하는 평면적 실험이 주가 되었다. 하지만 이후 전광영의 작업은 보다 과감하고 강렬하게 전개되었다. 화면 안에서 한지 조각들은 꿈틀거리는 운동성을 보여주기도 하고 과감한 요철을 지닌 공간성을 보여주기도 했으며 종국에는 완전한 입체적 조형물로 완성되곤 하였다. 최근 전광영의 한지 작업들은 파란색, 노란색, 빨간색 등의 색상을 품어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Aggregation20-SE051(Star12)
64cm diameter
Mixed media with Korean mulberry paper 2020
출저 _http://www.chunkwangyoung.com

Aggregation18 - AP027
147cm x 208cm
Mixed media with Korean mulberry paper 2018
출저 _http://www.chunkwangyoung.com
영 상 자 료
주요 보도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11318090004149?did=NA
http://jmagazine.joins.com/forbes/view/326943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520_0001447138&cID=10701&pID=10700
홈페이지
https://www.chunkwangyo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