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 S25 Tri B, 2025, Acrylic on canvas, 195x 390 cm.jpg

SOO KYOUNG LEE

WHAT THINGS DON'T TELL

 

이수경 


Soo Kyoung Lee_Solo show

 

Sep. 5 - Oct. 4, 2025

Opening | Sep 5 Fri,  5-7pm

 "초대합니다."

이수경 작가의 신작들을 발표하는

<What things don’t tell> 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이 전시에는 작가의 최근작 열세 점이 새롭게 선보입니다.

작가가 풀어 낸 깊고 아름다운 화폭에는

색色과 면面과 선線들의 자유롭고 기운 찬

어울림이 담겨 있습니다.

 

사각의 평면 위에 펼쳐진 이 끝 모를 공간에는

미지의 신비로움과 원초적 조형미가 담겨져 있습니다.

이수경의 추상회화와 함께 다가오는 구월을

구름 덮인 운중에서 맞이하시기 바랍니다.

CRITIQUE

이수경의 회화 _ 운중화랑 <What things don’t tell> 전시서문, 2025

 

 부유하는 형태와 색으로 이름을 부르는 

 

고충환(Kho Chunghwan 미술평론)

시의 상징적이며 순결한 언어가 좋다(작가 노트). 문학은 크게 시와 소설로 나뉜다. 소설이 서사적인 구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면, 시는 상징적인, 암시적인, 함축적인 의미를 지향하는 것이 다르다. 이수경 작가는 추상회화를 그린다. 그 추상회화가 시를 닮았다. 추상회화도 시처럼 상징적이고, 암시적이고, 함축적이다. 그러므로 작가가 좋아하는 시와 작가가 그리는 추상회화가 서로 부합한다. 시와 회화가 서로 통한다고 해도 좋고, 회화가 시의 또 다른 버전이라고 해도 좋다. 한편으로 작가의 말을 뜯어보면 상징적인 시와 순결한 언어가 서로 부닥친다. 한편으로 상징적이고 암시적이고 함축적인 언어가 좋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순결한 언어도 좋다? 시와 관련해서 순결한 언어란 때 묻지 않은 언어, 오염되지 않은 언어를 의미한다. 의미와 절연된 텅 빈 의미, 언어와 절연된 텅 빈 언어 자체를 의미한다. 여기서 텅 빈 의미, 텅 빈 언어란 무슨 의미인가. 어떤 전제도 없이 의미의 영도 지점에서 시작하고, 가고, 닿는다는 의미이다. 의미를 의미의 바깥(모리스 블랑쇼)으로 확장하고, 언어를 언어의 바깥으로 확장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외관상 부닥치는 것처럼 보이는 상징적인 시와 순결한 언어는 의미를 매개로 다시 서로 부합한다. 의미의 바깥도 의미이다. 언어의 바깥을 지향하는 것도 움직이는 언어의 틀 안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그렇게 상징적인 시와 순결한 언어가 협동해서 재현적인, 서사적인, 자기지시적인, 자기동일적인 의미의 바깥으로 의미를 확장한다. 이로써 작가의 그림은 어떤 전제도 없이 시작하고, 가면서 길을 열고, 그 와중에 예기치 못한 형태에 도달하는 그리기를 지향한다고 해도 좋다. 어떤 전제도 없이 시작하고, 가면서 의미를 얻고, 그 와중에 우연한 의미에 도달하는 열린 그리기를 지향한다고 해도 좋다. 부연하면 비록 어떤 전제도 없이 시작한다고는 했지만, 작가도 모르는 사이에 작가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들, 이를테면 우연한 일상과 무의식적 기억과 같은 것이 배어있어서 그것이 때로 알만한 형태를 암시하고, 알만한 의미를 상기한다고 해도 좋다. 부유하는 형태들(작가 노트). 작가는 평면에서 시작한다. 색면에서 시작한다. 주지하다시피 평면(성)은 형식적 환원주의에 천착한 모더니즘 패러다임의 제일 원칙으로 알려져 있다. 클레멘테 그린버그의 주장으로, 이로써 그린버그는 색면추상의 길을 열었다. 그렇다면 평면에서 시작하고, 색면에서 시작하는 작가는 그린버그주의자인가. 그렇게 보인다. 최소한 회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그린버그를 참조하는 모더니스트로 보인다. 시점이 그렇다는 것이지, 과정과 결과를 보면 또 다르다. 평면에서 시작해 평면으로 귀결되는, 색면에서 시작해 색면으로 환원되는 그리기와는 다른 과정과 결과를 보여주고 있고, 여기에 작가만의 회화적 아이덴티티가 있다. 그렇다면 평면으로 귀결되고 색면으로 환원되는 모더니즘 추상회화의 자장 속에서 작가는 어떻게 일탈하는지, 그러므로 어떻게 자기만의 형식을 열어놓는지 볼 일이다. 어떻게 바깥을 예시하는지, 그러므로 어떻게 모더니즘 패러다임을 확장하는지 볼 일이다. 작가는 부유하는 형태를 그린다고 했다. 실제로도 그림 속 형태는 평면 위에 부유하는 것처럼 보이고, 무중력 상태를 떠다니는 것처럼 보인다. 평면 위에 콜라주 한 형태처럼도 보인다. 그렇다면 왜 부유하는가. 왜 부유하는 형태인가. 형식논리와 감각의 소산이겠지만, 이로부터 뿌리도 없이, 정처도 없이 떠다니는 현대인의 알레고리를 본다고 한다면 지나친 해석의 비약이라고 할까. 현대적인 감각의, 작가의 그림에 공감하고 어필하는 부분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적어도 부유하는 형태가 평면에서 일탈하고, 평면을 확장하는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그렇다면 어떻게 일탈하고 확장하는가. 작가의 그림은 마치 색면 테이프로 전면을 봉한 연후에, 종이 오리기라도 하듯 색면의 일부를 칼로 오려내 그 이면의 속살이 드러나 보이게 만든 그림 같다. 색면의 일부를 칼로 오려내 젖혀놓은, 그렇게 젖혀진 부분에 색면의 안쪽에 숨겨진 이미지가 드러나 보이는, 그렇게 색면의 바깥쪽과 안쪽 면이 하나의 화면에 중첩되고 포개진 그림도 같다. 더 입체적인 경우도 있는데, 종이 오리기를 한 연후에, 손으로 그 형태를 잡아 올리면 형태가 평면 밖으로 돌출될 것 같은 느낌의 그림도 있다. 평면 위에 망 구조의 선이 만든 형태가 중첩돼 보이는 것에 연유한 것인데, 그 형태가 종이 공작을 떠올리게 한다. 식물의 잎맥과 같은, 풍경과 같은, 솔방울과 같은, 볍씨와 이삭과 같은 자연 소재를 떠올리게 한다. 마구 엉클어진 실타래를 떠올리게 하고, 에코백과 같은 망태기를 떠올리게 만든다. 어떤 전제도 없이 시작하고, 가고, 가닿는 이미지, 생성하는 이미지, 이행하는 이미지인 만큼 다른 임의의 형태를 떠올려도 무방한 그림이다. 그렇게 평면 속에 공간적 깊이를 열어놓고 있는, 평면과 입체의 경계를 허물면서 넘나드는 그림이다. 물론 작가가 실제로 색면 테이프(혹은 시트지)를 사용한다거나 종이 오리기를 시도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런 연상작용과 착시효과를 불러일으킨다고 보면 되겠다. 그만큼 평면성이 강조돼 보인다는 의미로 받아들이면 되겠다. 평면을 유지하면서 평면에서 일탈하는, 평면을 견지하면서 평면을 확장하는, 평면과 색면으로 나타난 모더니즘 패러다임의 준칙을 재설정하는 자신만의 방법으로, 작가 식의 형식논리로 보면 되겠다. 평면적 회화, 평면의 확장/ 조각적 회화, 회화에서 오브제로/ 설치회화, 공간의 확장. 그렇게 작가는 평면 속에 공간적 깊이를 열어놓는 방법으로 평면을 견지하면서 평면을 확장한다. 평면 속에서 평면을 확장한 것인데, 나아가 실제로도, 그러므로 평면 밖으로도 확장한다. 변형 캔버스를 도입한, 채색 목판을 도입한 일련의 작업이 그것으로, 타블로의 한정에 구속받지 않는 만큼 상대적으로 더 자유로운 공간 운영이 가능해진다. 색면의 변주라고 해도 좋을, 채색 목판 조각을 짜 맞춰 하나의 유기적인 형태를 얻는 작업이다. 부분이 모여 전체를 이루는,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기저로 한 것으로, 특이하게도 부분과 부분이 만나는 선이 반듯하지 않다. 직소로 일일이 직접 절단했다고 했다. 레이저 커팅이라면 반듯한 선을 얻을 수 있겠지만, 작가는 반듯한 선이 싫다. 자연처럼, 자연의 생리처럼 틈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적인 선이 좋다. 그 틈새가 작품이 쉬는 숨이 지나가는 길(숨길)이며 통로(숨통) 같다. 평소 작가의 감각적 체질이 반영된 것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렇게 만든 형태를 작가는 벽에도 걸고, 바닥에도 깔고, 공간에도 세운다. 벽에 거는 경우, 타블로의 변형된 형태 혹은 타블로의 확장이라고 해도 좋다. 바닥에 까는 경우, 그리고 그 자체 지지대 역할도 하는 나무 구조물과 함께 공간에 세운 경우, 가변설치가 가능한, 공간에 개입하고 간섭하는, 공간 경험을 재설정하는 공간설치작업으로 확장된다. 상대적으로 더 적극적인 경우로 장소 특정적 작업이 주목되는데, 오래된 성당이나 고성에 설치한 작업이 그렇다. 회벽 색과 벽돌색으로 고색창연한, 그리고 여기에 색 유리창을 통과한 자연광마저 가세한, 성당과 고성에 매개되고 개입된 다채로운 색면 회화가 고대와 현대가 만나는 것 같은, 고대와 현대가 대화하는 것 같은 느낌이다.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 그 자체 시간의 집이라고 해도 좋을 유적에서의 시간 경험을 재설정하는 느낌이라고 해야 할까. 그리고 일련의 문패 작업이 주목된다. 문패에 아로새겨진 저마다의 이름을 다채로운 색면이 조합되고 재구성된 형태로 번역(해석)한 것인데, 정체성 문제에 대한 평소 작가의 관심을 반영한 것일 터이다. 향후 작가의 작업이 사회학적인 관심사를 싸안는, 확장 가능성을 예시해주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다채로운, 오색찬란한, 천태만상의, 사람들 저마다의 수만 가지 이름을 불러주는, 그렇게 일일이 부르면서 대화에 초대하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어쩌면 문패 작업을 포함한 작가의 다른 작업 전체가 어느 정도 그런 작업이라고도 생각된다.

Soo Kyoung Lee's Paintings Calling Out the Names with Floating Forms and Colors By Kho Chunghwan, Art Critic "I like the symbolic and pure language of poetry" (Artist's Note). Literature is broadly divided into poetry and prose. While prose is based on narrative, poetry aims for symbolic, allusive, and condensed meanings. Soo Kyoung Lee's abstract paintings are like poetry. Like poetry, her abstract paintings are symbolic, allusive, and condensed. Therefore, the poetry she loves and the abstract paintings she creates align perfectly. We could say that paintings and poetry are in dialogue with each other, or that paintings are simply another version of poetry. On the one hand, a closer look at the artist's statement reveals a point of friction between "symbolic poetry" and "pure language." How can she appreciate symbolic, allusive, and condensed language while also favoring a pure language? In the context of poetry, "pure language" refers to a language that is untainted and undefiled. It means a void of meaning, severed from its usual sense, and a void of language, severed from its usual communication. What do these "void" concepts mean? They imply starting from a zero point of meaning, without any preconditions, and then moving toward and arriving at a new destination. This is about expanding meaning to its outside (dehors, as per Maurice Blanchot) and extending language to its outside. Thus, the seemingly conflicting ideas of symbolic poetry and pure language converge through the medium of meaning. The outside of meaning is still meaning. The act of reaching for the outside of language still happens within the framework of a moving language. Symbolic poetry and pure language work together to extend meaning beyond the outside of the representational, narrative, self-referential, or self-identical meaning.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artist begins her painting without any preconceptions, forges her own path as she goes, and arrives at unexpected forms in the process. The core of her paintings is an open form of painting, starting without a premise, acquiring meaning along the way, and reaching an accidental meaning in the process. To elaborate, although she begins without any preconditions, things that unconsciously form a part of the artist—such as her incidental daily life and unconscious memories—seems to be latent within her. At times, these elements can suggest familiar forms and evoke familiar meanings. "Floating forms" (Artist's Note). The artist starts with a flat surface, with fields of color. As is well known, the two-dimensional plane is the primary principle of the modernist paradigm, which is fixated on formal reductionism. This was a concept put forward by Clement Greenberg, who thereby paved the way for Color Field Painting. So, is Soo Kyoung Lee, who begins with a flat surface and color fields, a Greenbergian? At least at the starting point, she appears to be a modernist who references Greenberg. However, her process and results are different. Her paintings show a unique process and outcome that differs from traditional modernist abstract painting, which begins and ends with the flat surface and begins and ends with color fields. This is where her unique artistic identity lies. We should, then, observe how the artist deviates from the orbit of modernist abstract painting that concludes with a flat surface and a color field, and how she establishes her own unique form. We should see how she points to an outside (dehors) and thus expands the modernist paradigm. The artist says she paints floating forms. Indeed, the forms in her paintings seem to float on the flat surface, as if floating in a state of weightlessness. They also look like forms collaged onto the surface. So, why are they floating? What makes her paint the "floating forms"? While this is a product of formal logic and sensibility, would it be too much of an interpretive leap to see in this an allegory for the modern person, who drifts without roots or a fixed destination? This might also be why her works resonate with and appeal to a modern sensibility. These floating forms deviate from and expand the flat surface. But how do they do this? Her paintings look as if the canvas was entirely sealed with colored tape, and then parts of the color field were cut out with a knife, like cutting paper, to reveal the raw surface beneath. It looks as if parts of the color field were sliced open to expose a hidden image underneath, superimposing the outside and inside surfaces of the color field onto a single screen. Some of her works are even more three-dimensional. After a cut-out is made, the forms seem to be lifted by hand, appearing as if they are protruding from the flat surface. This is because a net-like grid structure of lines is superimposed on the flat surface, and the shape is reminiscent of paper crafts. They also recall natural objects like plant veins, landscapes, pinecones, or grains of rice and ears of grains. They evoke tangled balls of yarn and tote bags. Since the images are started without a premise, continue along a path, and are ultimately reached or created in the process, they can evoke any other arbitrary form. Her paintings are works that open spatial depth within the flat surface, blurring and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th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Of course, the artist does not actually use colored tape or sheets or cut out paper. These are merely the associations and optical illusions her work creates. This emphasizes her focus on flatness. It’s her own method of redefining the rules of the modernist paradigm—presented as flatness and color fields—by maintaining the flat surface while deviating from it, and by adhering to the flat surface while expanding it. This can be seen as her unique formal logic. From two-dimensional painting, the expansion of the flat surface leads to sculptural painting, and the painting becomes an object or an installation. It’s an expansion of space. In this way, the artist maintains and expands the flat surface by opening spatial depth within it. While she fundamentally expands the flat surface within the flat surface, she also goes further by expanding it beyond the flat surface into the real world. A series of works that introduce colored wooden panels as a kind of transformed canvas demonstrate this. By breaking free from the confines of a limited tableau, a relatively freer spatial operation becomes possible. These works involve assembling colored wooden panel pieces to create a single organic form, which could be called a variation of the color field. These works ar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 and whole, where the parts come together to form the whole. What is unique is that the lines where the parts meet are not perfectly straight. While laser cutting could achieve a straight line, the artist dislikes them. She cuts each piece herself with a jigsaw. She prefers an organic line that includes gaps, much like nature and its physiology. These gaps seem like breathing paths and passageways for the work to rest. This reflects her inherent sensibility. The artist hangs these forms on walls, lays them on floors, and stands them in space. When hung on the wall, they can be seen as a transformed or expanded version of the tableau. When they are lying on the floor and stand in space with wooden structures that also serve as supports, they expand into a form of spatial installation work. These are variable space installations that intervene in and interact with the space, re-setting our space experience. A more active case is her site-specific work, such as installations in old cathedrals or castles. Her colorful Color Field Paintings mediate and intervene in these spaces, where natural light passing through stained glass windows is added to the antiquated hues of the plaster walls and bricks. It feels like an encounter between ancient and modern, a conversation between different eras. It could be said that she is re-setting our experience of time in these historic sites—houses of time themselves—where time seems to flow so slowly. Furthermore, a series of her doorplate works are noteworthy. In these works, the artist reinterprets the unique names engraved on various doorplates into reconfigured forms of various colored fields. This reflects her long-standing interest in the issue of identity. I believe these works suggest the future potential of her practice to encompass sociological concerns. I think of this work as calling out the myriad names of people, each one so diverse, vibrant, and multifaceted, and in so doing, inviting each one into a dialogue. Perhaps, even beyond the doorplate works, the artist's entire body of work does this to some extent. This critique was written to commemorate Soo Kyoung Lee's solo exhibition, at the Woonjoong Gallery in September 2025.

MEET ARTIST

temp_1666406554242_edited.png

이수경 Lee Soo kyoung

 

Born in Seoul in 1969, lives in Paris and works in Bagnolet, Bruxelles and Seoul.

주요전시

2026 [Upcoming], Oniris Gallery, Rennes (France)

2025 What things don't tell,Woonjoong Gallery,

Seongnam, Korea

2025 Color, Surface and Light, 46 ST PAUL, Paris, France

2024 Palimpsest, Accompany, Busan, Korea

2023 MM gallery, Brussels, Belgium

2023 Munpei, Cj Art Studio ( CMOA), 청주, Korea

2023 Artside gallery, Seoul, Korea

2023 It sounds bleu, L’orangerie du château de Sucy en Brie 아트센터, France

2022 a place to be, Oniris 갤러리, Rennes, France

2022 Sense and Garden, Jeonbuk Museun of Art

2021 Parallaxe, Woonjoong gallery, Seongnam, Korea

2019 여기 있다, Hoban Artrium, Gwangmyeng, Korea

2018 Terra Incognita, Choi Gallery,Seoul, Korea

2017 Dichotomie, Gallery 604, Busan, Korea

수상

2014 Laureate de la Fondation Colas

작품소장처

2022: 공정거래위원회 소장, 서울

2020: 청주시립 미술관 소장, 청주

2014: Gentilly 시립미술관 소장 (City hall) , Gentilly , France

2014: 콜라스 재단 소장 ( Colas), Paris, France

2013: 청주시립 미술관 소장, 청주

2013: Art ensuite of the Hôtel Elysées Mermoz, Paris, France

Private collections : France, Germany,Belgium, Hollande, USA, Swiss, Hong Kong, Korea

Contemporary Art Center, L’Atelier d’Estienne, Pont-Scroff, France

ART WORKS 

EXHIBITION VIEW

ARTIST STATEMENT

나의 행위는 익숙한 제스처의 반복이 아니라 한 순간 순간의 직감으로 나오는 흔적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첫 단계의 시작만이 중요한것은 아니다. 나는 끊임없이 관찰하고 또한 변형시키고 행위에 행위를 겹치고 다른 형태를 덧붙이며 쉴새없이 켄버스를 드나든다. 바로 이러한 단계를 거쳐서 천천히 형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나의 시각과 행위의 쉴새없는 왕복은 어떠한 특정한 의지로 이루어지는것은 아니다. 이러한 행위들은 켄버스의 평면이 주는 범위에 대한 인식, 그 구조 , 비율등을 고려하며 조형화 되어간다. 미리 구축한 선험적 생각으로 작업을 진행하는것이 아니라 기대하지 않고 상상하지 않은, 일상 언어로 설명하기 어려운 그러한 영역들을 발견하며 하나하나 찾아가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형상이라는 것은 특정한 이름을가질 수 있는 그런 형태들이아니다.. 나의 작품에 드러 나는 형상들은 확실한 색깔들로 간혹 대조적이기도 조화 롭기도 두껍기도 하고 얇게 칠해지기도하는 그런 조형적 조직체들이다. 마치 평면에 붙은듯하기도하고 꼭 걸어놓은것같기도한 이런한 형상들은 서로 함께 어우러지기도하고 부듯치기도하면서 파라독스를 형성하지만 한 평면에서 서로 함께 존재하고자도 한다.

이렇게 많은 의문들의 순간들이 쌓이며 하나하나의 작품이 완성되어간다. 즉 나의 작품은 문제를 던지는 것이지 한방향의 해답을 주지는 않는다... 이 전시를 통해 끊임없은 의문들을 품고 바라보는 타인의 시각과 함께 그 의구심을 나누고 소통해 보고 싶다.

MAKING FILMS

Open soon

우편엽서.png

찾아오는 길 안내

​아래 하단에 주차 및 교통편에 대한 안내가 있습니다.

  • 페이스 북 사회 아이콘
  • Instagram
bandicam 2021-02-27 13-09-51-271.jpg

13461.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로 137 번길 14-3

WE ARE OPEN 

Tue -Sat 

(Sun,Mon | Closed)

10AM - 6PM

13461.   14-3, Unjung-ro 137beon-gil,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Tel: 031-703-2155

​찾아오는 길 

버스 | 서울에서 9003, 9004 ,9007 ,9007-1 , 4103

운중동행정복지센터 하차 도보 5분

 

지하철 | 판교역 하차후 운중동행정복센터행 버스(10분) 도보 5분

 

 

주차안내 | 대승민영주차(아이파킹주차장), 제일주차장,

운중동2공영주차장, 운중동1공영주차장

 

 

도보 2분

 

 

(유료 / 30분 2,000원/ 10분당 700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