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강사, 고충환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원

1981_1988년. 영남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서양화 전공 학사 졸업

1989_1993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미학전공 석사 졸업

 

주요 전시기획 경력

1999년. <예술가가 만든 책>, (구)문예진흥원미술관(공동기획)

2002년. <재현의 재현>, 성곡미술관

2005년. <비평의 쟁점>, 포스코미술관

2008년. <조각의 껍질 혹은 허물>, 모란미술관

2009년. <드로잉조각_공중누각>, 소마미술관

 

수상 경력

199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당선,

<키치의 현상학 이후_신세대미술의 키치 읽기>

2002년. 성곡미술기획공모대상 수상, 성곡미술관, <재현의 재현전>

2006년. 월간미술대상 학술평론부문 장려상 수상, 월간미술,

<무서운 깊이와 아름다운 표면>

 

주요 저서

2002년. <비평으로 본 한국미술>, 대원사(공저)

2006년. <무서운 깊이와 아름다운 표면>, 랜덤하우스중앙

 

주요 논문 및 원고

1993년. <독일표현주의의 근원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년. <키치의 현상학 이후_신세대미술의 키치 읽기>, 조선일보

1998년. <현대미술과 오브제_현대미술에서 오브제의 의미>,

서원대학교, 예술문화연구

1998년. <루시앙 프로이트 작품 분석_살찐 소파의 음모>, 미술평단

1999년. <해체의 당대적 의미와 작가의 자기 정체성 문제>, 미술평단

1999년. <사이버아트의 동시대적 의미와 전망>, 미술평단

2011년. <이응노의 판화, 고암의 형식실험실을 엿보다>, 이응노미술관, 대전

2014년. <정영렬의 종이작업이 갖는 미학적 특질과 의의

_적멸 이후, 적멸 속으로, 적멸마저 사라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5년. <양식사 혹은 상호영향사의 관점에서 본 전혁림의 회화>,

이영미술관, 용인

  • 페이스 북 사회 아이콘
  • Instagram
bandicam 2021-02-27 13-09-51-271.jpg

13461.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로 137 번길 14-3

WE ARE OPEN 

Tue -Sat 

(Sun,Mon | Closed)

10AM - 6PM

13461.   14-3, Unjung-ro 137beon-gil,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Tel: 031-703-2155

​찾아오는 길 

버스 | 서울에서 9003, 9004 ,9007 ,9007-1 , 4103

운중동행정복지센터 하차 도보 5분

 

지하철 | 판교역 하차후 운중동행정복센터행 버스(10분) 도보 5분

 

 

주차안내 | 대승민영주차(아이파킹주차장), 제일주차장,

운중동2공영주차장, 운중동1공영주차장

 

 

도보 2분

 

 

(유료 / 30분 2,000원/ 10분당 700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