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rt Salon

1_edited.jpg

18세기 프랑스에서 각계의 사람들이 모여 예술과 문학을 나누던 사교 집회를 뜻하는 ‘살롱(salon)’

운중화랑은 미술사 및 현대미술 강의, 작가와의 만남을 통해

미술을 사랑하시는 분들과 함께 만드는 소통의 장이 되고자 합니다.

개강 매월 2째 화요일 (유료강의)​

수업일_ 월 3회 매월 2,3,4,주차 화요일

정원 10명(수시 모집)  T. 031-703-2155

 


 

전임 강사  : 고충환 평론가 

강의 내용 - 2023 상반기

< 인문학적 미술 읽기 >

 

개념미술 이후 현대미술은 의미를 다투는 담론의 장이 되었습니다. 개념과 담론에 대한 이해가 곧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를 위한 전제가 되고 있다고 해야 할까요. 따라서 지난 학기 모더니즘 미술사 강의를 바탕으로 이번 강의에서는 주요 개념과 담론을 통해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텍스트 분량이 있으므로 강의 시작 일주일 전에 텍스트를 먼저 제시하고 각자 읽어온 후 질문과 토론 위주로 1시간을 진행하고, 이미지를 통한 사례분석으로 나머지 1시간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1강. 오브제, 사물들의 세계_오브제의 이해

심미적 대상으로서의 물건/초현실주의와 오브제/물화, 페티시즘/동시대적 오브제/일상의 재발견

 

2강. 키치, 예술에서의 대중문화 논의_키치의 어원

통속적인 미학/키치에 대한 편견과 오해/키치, 자본주의의 적자/키치의 전략, 코드의 중층화/키치의 전략, 사물의 전치/키치의 사물형식, 가제트/키치의 욕망, 포르노그래피/키치적 의식

 

3강. 페미니즘, 재현의 정치학_아방궁 종묘 점거 프로젝트

페미니즘 운동의 배경/여성적인 전형의 조작/본질주의 페미니즘/다원주의 페미니즘/에코페미니즘

 

4강. 타자들의 담론_타자의 발견

타자의 이해/억압된 것들의 귀환/내 안의 타자/타자론/하위문화

 

5강. 모더니즘 서사의 수용과 변용

- 박기원, 이인현 작가와의 대화

6강. 테크놀로지와 사이버아트, 예술과 기술의 결합_이미지

테크놀로지 아트/비디오아트/사이버의 이해/사이버아트의 이해/사이버 환경에서의 소통/에코 사이버네틱스

 

7강. 작가와의 만남_작업실탐방_박미화작가님

8강. 퀴어와 캠프, 위반의 정치학_정상적인 성과 비정상적인 성

구경거리로서의 성/성역할론/캠프적 감수성/아름다운 공존

 

9강. 몸, 물질적 상상력과 물질의 상상력_몸의 언어

물질에 대한, 물질에 의한 상상력/물질적 상상력/우주적 살/ 불연속성/몸의 정치학/몸의 정치학 이후

 

10강. 유목주의, 탈경계와 탈정체의 실천_미술에 대한 재정의

유목의 다양한 양상들/유목론적 예술관념/트렉커 정신

 

11강. 동시대의 형상미술_재현과 서사

자의적이고 임의적인 이미지/재현의 용법들/동시대의 서사미술/패러디의 용법/서사미술 이후

 

12강. 아티스트북_아티스트북의 이해

아티스트북의 기원/20세기 초 아티스트북/박스 형태의 아티스트북

개념미술가의 아티스트북/아티스트북의 다양한 형태/국내의 아티스트북/소통의 한 형식

 

13강. 사운드스컵쳐_학제간 연구

사운드아트, 사운드스컵쳐, 사운드인스톨레이션/사운드스컵쳐의 역사/사운드스컵쳐, 키네틱아트로부터

사운드스컵쳐, 플럭서스로부터/사운드스컵쳐의 동시대적 경향/국내의 사운드스컵쳐

 

14강. 20세기 이후 현대미술의 변화와 모색(종합)_개념들

현대성 논의/현대미술(사)/전망

강의 내용 - 2022 하반기

 

<모더니즘에서 컨템포러리까지>

 

 동시대 미술은 현대미술(시기적으로 대략 20세기 초 시작된)의 연장선에 있다. 그러므로 현대미술을 알아야 동시대 미술도 알 수 있다. 일부 예외가 없지 않지만 대개 동시대 미술은 현대미술에서 제기된 형식과 의미가 확장되고 심화되고 변주된 것이라고 해도 좋다. 그렇다면 현대미술은 언제 어떤 계기로 시작되었을까. 현대미술을 정의하고 규정하는 조건이 따로 있기라도 한 것인가. 도대체 현대미술이 뭔가. <모더니즘에서 컨템포러리까지>를 통해 바로 그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보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1강. 언어의 한 형식으로서의 예술, 정상성 언어와 비정상성 언어의 이해

2강. 인상주의, 빛과 색채의 향연

3강. 표현주의, 인간 내면의 비극적 세계관의 표현

4강. 사실주의와 현실주의

5강. 추상미술, 예술의 자율성을 추구한 내재율의 회화

6강. 입체파, 사물의 본질에 대한 기하학적 환원/ 미래파, 부정과 거부의 정신과 실천 논리

7강. 초현실주의, 무의식적 욕망에 대한 탐구

8강. 다다이즘과 마르셀 뒤샹 

9강.  제여란 작가 작품연구, 작가와의 만남

10강 . 팝아트_대중적인, 너무나 대중적인

11강. 개념미술, 아이디어가 곧 미술이다

12강. 설치미술, 공간의 재구조화/ 행위예술, 삶이 곧 예술이다

13강. 아방가르드_ 신화의 파괴 이후, 신화의 차용과 재해석

14강. 신구상주의 회화와 자유구상, 수상적 표현의 복권과 히화적 자유의 추구

15강. 미니멀리즘,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

  • 페이스 북 사회 아이콘
  • Instagram
bandicam 2021-02-27 13-09-51-271.jpg

13461.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로 137 번길 14-3

WE ARE OPEN 

Tue -Sat 

(Sun,Mon: Appointment)

10AM - 6PM

13461.   14-3, Unjung-ro 137beon-gil,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Tel: 031-703-2155

​찾아오는 길 

버스 | 서울에서 9003, 9004 ,9007 ,9007-1  운중동행정복지센터 하차 도보 5분

 

지하철 | 판교역 하차후 운중동행정복센터행 버스(10분) 도보 5분

 

 

주차안내 | 대승민영주차(아이파킹주차장), 제일주차장, 운중동공영주차장,

 

도보 2분

 

(유료 / 30분 2,000원/ 10분당 700원)

 

 

 

bottom of page